오십견이란? 증상부터 치료까지 한눈에 정리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십견이란? 증상부터 치료까지 한눈에 정리

by Min's Therapy 2025. 5. 16.
반응형

오십견 치료 사진

오십견은 중년 이후 많은 사람들이 겪는 어깨 질환 중 하나로, 정확한 명칭은 유착성 관절낭염(Adhesive Capsulitis)입니다. 주로 50대에 호발한다고 하여 ‘오십견’이라는 명칭이 붙었으며, 어깨 통증과 함께 관절의 움직임이 급격히 줄어드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글에서는 오십견의 정의, 주요 증상, 진행 단계, 치료법, 예방법까지 한눈에 정리하여 안내드립니다.

1. 오십견이란? 정의와 원인

① 정의

오십견은 어깨 관절을 둘러싼 관절낭이 두꺼워지고 유착되면서, 어깨 움직임이 제한되고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별다른 외상이나 수술 없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시간이 지나도 호전되지 않고 오히려 악화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② 원인

  • 명확한 원인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 (특발성)
  • 호르몬 변화 (폐경기 여성에게 흔함)
  • 당뇨병, 갑상선질환, 심장질환 등과 연관
  • 장기간의 어깨 비사용 (수술 후, 골절 후 고정 등)

전체 인구의 약 2~5%에서 발생하며, 40~60대 사이에서 특히 빈번하게 나타납니다.

2. 오십견의 주요 증상

① 통증

  • 어깨 깊숙한 곳에서 나타나는 둔한 통증
  • 밤에 악화되는 야간통, 수면 장애 유발
  • 팔을 들어 올릴 때 극심한 통증 발생

② 운동 제한

  • 외회전 제한이 가장 두드러짐
  • 팔을 옆으로 들어 올리기, 뒤로 돌리기 힘듦
  • 머리 빗기, 브래지어 채우기, 옷 입기 등 일상 동작 제한

③ 진행 단계

  1. 급성기 (Freezing stage): 통증이 심하고 움직임 제한 시작 (1~3개월)
  2. 동결기 (Frozen stage): 통증 감소, 하지만 움직임 극도로 제한 (4~12개월)
  3. 해빙기 (Thawing stage): 통증 줄고 점차 운동 범위 회복 (6개월~1년 이상)

오십견은 치료 없이도 수년 후 자연 회복되는 경우가 있으나, 적절한 중재가 없을 경우 기능 손상이 오래 지속될 수 있습니다.

3. 진단과 검사 방법

  • 의학적 진단: 병력 청취 + 신체검사 (특히 외회전 제한)
  • X-ray: 다른 어깨질환 배제 (석회성 건염, 골절 등)
  • MRI: 회전근개 파열 등 감별진단 필요 시 시행

회전근개 질환, 석회성 건염, 견봉하 점액낭염 등 유사 질환과의 구별이 중요하므로 정확한 진단이 필수입니다.

4. 오십견 치료 방법

① 약물 치료

  • 소염진통제(NSAIDs): 통증 완화 및 염증 억제
  • 스테로이드 주사: 심한 통증 시 관절 내 주사 시행

② 물리치료

  • 온열치료: 관절 주위 조직 유연성 향상
  • 전기자극치료: 통증 경감
  • 운동치료: 수동 가동범위 운동(PROM), 능동 보조 운동(AAROM)

③ 도수치료

  • 관절 가동술(Mobilization): 견관절 전방, 하방 조직 이완
  • 근막 이완술(MFR): 어깨 주변 긴장된 근육과 근막 유연화

④ 가정관리 및 운동

  • 벽 짚고 팔 올리기 (Finger wall climb)
  • 막대기 이용한 외회전 스트레칭
  • 샤워 시 온찜질과 함께 스트레칭 병행

⑤ 수술적 치료 (드물게 시행)

  • 관절 유리술(Capsular release): 중증 오십견에서 시행
  • 수면마취 후 강제 관절운동 (Manipulation under anesthesia)

대부분의 환자는 비수술적 치료로 증상 완화와 기능 회복이 가능합니다.

5. 오십견 예방법

  • 일상에서 어깨를 규칙적으로 움직이기
  • 40대 이후 어깨 통증이 느껴지면 조기 진단
  • 수술, 골절 등 어깨 고정 상황 후 재활치료 필수
  • 혈당 조절 (당뇨병 환자에게 더 흔하게 발생)

평소 올바른 자세 유지와 스트레칭 습관은 오십견 예방에 큰 도움이 됩니다.

결론: 오십견, 조기 대응이 핵심입니다

오십견은 단순한 어깨 통증이 아닌, 관절낭의 유착과 운동제한이 동반된 복합 질환입니다. 증상이 발생하면 방치하지 말고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물리치료 및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수치료와 가정운동을 병행하면 회복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만성화되기 전에 조기 대응이 핵심입니다. 50대 이상 어깨가 잘 들리지 않는다면, 지금 바로 치료를 시작해보세요.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