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치료는 손상된 신체 기능을 회복하고 재손상을 예방하는 핵심적인 재활 전략입니다. 하지만 모든 환자에게 동일한 운동을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조직 회복의 단계에 따라 신체의 반응과 필요가 달라지기 때문에, 재활 단계별로 적절한 운동 목적과 방법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급성기부터 만성기까지, 재활단계에 따른 운동치료의 구성 원칙과 구체적인 방법을 정리해 실무에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드립니다.
1. 급성기(Acute Phase): 보호와 통증 조절 중심
시기: 손상 후 1~7일 내
목표: 통증 감소, 부종 관리, 조직 보호, 초기 가동성 유지
주의사항: 조직 스트레스 최소화, 과도한 움직임 금지
적용 운동 기법:
- 관절 가동운동(PROM, AAROM): 수동 관절운동 또는 보조운동으로 가동범위 유지
- 등척성 근 수축(Isometric): 움직임 없이 근육을 수축시켜 초기 근육 활성화
- 호흡 운동 및 근막 긴장 감소 운동: 흉곽의 움직임 회복, 이완 유도
- 냉찜질, 수중운동 등 부하 감소 환경 활용
예시 프로그램: - 무릎 인대 손상 후: 슬개골 활주 + 대퇴사두근 등척성 수축 - 어깨 충돌 증후군: 펜듈럼 운동 + 수동 외전 가동운동
2. 아급성기(Subacute Phase): 가동성과 근력 회복 단계
시기: 손상 후 1~3주 경과
목표: 점진적인 가동성 증가, 저중량 근력 향상, 움직임 협응 유도
주의사항: 통증 유발 범위 내 조절, 기능적 패턴 형성에 중점
적용 운동 기법:
- 능동 관절운동(AROM): 스스로 움직이는 운동으로 관절 자율성 회복
- 저항운동(밴드, 튜빙): 회전근개, 고관절 등 약화된 부위 중심
- 코어 안정화 운동: 요추-골반-고관절 정렬 유지를 위한 필수 요소
- 밸런스 훈련: 고유수용감각(Proprioception) 자극을 통한 협응력 강화
예시 프로그램: - 발목 염좌 후: TheraBand를 이용한 발목 내외반 운동 + 한발 서기 - 요추 통증 환자: Bird-dog, Dead bug 등 초기 코어 활성화 운동
3. 만성기(Chronic Phase): 기능 회복과 재발 방지 중심
시기: 손상 후 6주~수개월
목표: 일상 및 스포츠 복귀, 근지구력 강화, 복합 동작 적응
주의사항: 기존 통증 습관을 해소하고, 능동적인 움직임 습관화
적용 운동 기법:
- 기능적 움직임 트레이닝: 걷기, 앉기, 일어서기, 계단 오르기 등 일상동작 기반
- 복합관절 운동: 스쿼트, 런지, 힌지 동작 등 전신 협응 훈련
- 운동 통합 재교육: 도수치료와 병행하여 정렬과 패턴 재학습
- 심폐 지구력 훈련: 자전거, 수영 등 유산소성 운동 병합
예시 프로그램: - 슬개대퇴 통증 환자: Wall sit, Step-up, 클램쉘 운동 병합 - 견갑골 불안정: Wall slide + Scapular control 운동 + 저중량 로우
4. 특수 케이스별 단계 적용 예시
1) 수술 후 재활
- 초기: 조직 보호 중심 → PROM, 등척성
- 중기: 가동범위 향상 → AROM, TheraBand 저항 운동
- 후기: 기능 회복 중심 → 복합운동, 유산소 활동 병합
2) 만성통증 환자
- 급성기 운동 피하기보다는, 저강도 노출 훈련
- 인지-운동 통합 전략: 거울치료, 자기인식 향상 훈련 병행
3) 고령자 재활
- 낙상 예방 중심 균형 훈련
- 낮은 강도의 전신 유산소 운동 + 일상동작 중심 운동
5. 운동치료 단계별 구성 요약표
재활 단계 | 주요 목표 | 추천 운동 | 주의사항 |
---|---|---|---|
급성기 | 통증 완화, 조직 안정화 | PROM, 등척성 수축, 호흡 운동 | 조직 손상 방지, 부종 주의 |
아급성기 | 가동범위 증가, 초기 근력 회복 | AROM, 저항운동, 코어 안정화 | 통증 범위 내 조절, 협응 유도 |
만성기 | 기능 회복, 재손상 방지 | 복합운동, 일상동작 모사 운동 | 운동 지속성 확보, 자기 관리 교육 |
결론적으로, 운동치료는 재활의 각 단계에서 그 목적과 접근법이 달라지며, 이를 정확히 구분하고 환자 상태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 물리치료사의 핵심 전문성입니다. 도수치료와 병행하되, 점진적 과부하 원칙과 기능 회복 목표를 갖고 설계된 운동 프로그램이 장기적인 치료 효과를 이끕니다. 단계별 전략을 체계적으로 실천한다면, 재활 과정은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완성될 수 있습니다.